앞으로 2년 뒤 방사능 오염수가 방류됐을 때 예상되는 이동 경로입니다. <br /> <br />해양 조건에 따라 오염수의 확산 경로는 조금 달라질 수 있지만 <br /> <br />전문가들은 일본에서 방류한 오염수는 쿠로시오 해류, 북태평양 해류를 따라 5년 안에 미 서부 연안에 도착하고 <br /> <br />우리나라 제주에는 적어도 5년 길게는 10년 사이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전 세계 바다가 위협을 받는 거죠. <br /> <br />'방사능 오염수'는 무엇이고 왜 위험한 걸까요? <br /> <br />10년 전인 지난 2011년 3월 11일. <br /> <br />일본 관측 사상 최대인 규모 9.0의 강진이 일본 동부 해안을 강타했습니다. <br /> <br />높이 10m에 달하는 거대한 쓰나미까지 덮쳤고 인명피해도 컸습니다. <br /> <br />피해는 여기에서 그치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후쿠시마 원전에 전기 공급이 끊기면서 원자로를 식힐 냉각 장치의 가동이 멈췄고 연쇄 폭발로 이어졌습니다. <br /> <br />폭발 후에도 핵연료는 계속 핵분열을 일으키며 에너지를 방출했고, 온도를 낮춰야 했습니다. <br /> <br />급한 대로 도쿄 전력은 바닷물을 끌어다 냉각수로 사용했고요. <br /> <br />핵연료와 직접 닿은 냉각수는 방사성 물질을 머금은 오염수가 된 겁니다. <br /> <br />일본 정부는 원전 오염수 처리 시설을 거치면 냉각수에서 방사성 물질을 대부분 제거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전문가들은 아무리 잘 처리해도 방사선인 베타선을 가지고 있는 삼중수소는 제거할 수 없으며 <br /> <br />일본 정부의 말처럼, WHO 식수 기준의 7분의 1로 희석해 방류해도 문제가 끝난 게 아니라고 지적합니다. <br /> <br />[이헌석 / 정의당 기후에너지정의특위 위원장 : 이게 소위 얘기하는 희석이라고 하는데요. 이것을 가지고 사실 밖으로 나오게 되면 기준치보다는 당연히 떨어질 겁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해양에 살고 있는 생물체들의 경우에는 다양한 먹이활동을 하지 않습니까? 그럼 몸 속에 그것이 농축되는 일들이 벌어진다는 거죠. 그걸 또 사람이 먹게 되는 것이고요. 그런 측면에서 단순하게 기준치보다 이하라고 해서 괜찮다 이렇게만 얘기할 문제는 아니라는 겁니다.] <br /> <br />삼중수소만 남아있는 건 아닙니다. <br /> <br />다른 방사성 물질들도 기준치 미만으로 떨어진다고 해도 축적되면 각종 질병을 유발한다고 전문가들은 우려합니다. <br /> <br />오염수에 들어있는 각종 방사성 물질들은 뇌와 신장, 갑상선과 뼈에 축적될 수 있고 <br /> <br />각종 질병과 암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다시 지도를 보시죠. <br /> <br />우리나라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10413170535000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